전체 글7 Transmission Line (6) [회로 특성 고려]1)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할 것이에요. (general loss = lossy)2) 회로의 loss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것이에요. (lossless , ideal)3) 약간의 loss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low loss) [Load Impedance 고려]그리고 이번에는 load를 연결해봅시다.1.input Impedance (매우 중요함)input Impedance는 뭘까?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z=−l에서, Zin(z)=V(z)I(z)이다. 이걸 수식적으로 전개해보자.이 정의를 따르면 load impedance도 input impedance의 일종이다.근데 반사 계수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언제나 Impedance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좋.. 2025. 4. 2. Transmission Line (5) [회로 특성 고려]1)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할 것이에요. (general loss = lossy)2) 회로의 loss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것이에요. (lossless , ideal)3) 약간의 loss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low loss) [Load Impedance 고려] 0. 앞서 구한 반사 계수를 이용해 전압, 전류 식을 변경해보자. 1. 뜬금없겠지만 평균 전력을 구해보자.근데 A−A∗=purelyimaginary라서 어차피 사라진다. lossless일 때 time-average Power는 z에 대해 독립적이다. 즉, 항상 일정하다.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초고주파 신호는 아주 빠르게 전압,전류가 변하기때문에 특정 위치에서 신호의 세기를 알기 어렵다.하지만 Power는 상대적.. 2025. 4. 2. Transmission Line (4) [회로 특성 고려]1)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할 것이에요. (general loss = lossy)2) 회로의 loss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것이에요. (lossless , ideal)3) 약간의 loss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low loss) [Load Impedance 고려]그리고 이번에는 load를 연결해봅시다.0.lossless는 정말 쉽다. 어떤 손실도 없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이 회로를 앞선 방법을 이용해 분석해도 좋다만 R, G = 0을 대입해도 된다. R과 G가 0 이라는 것은 저항 손실이 없고 유전 손실이 없음을 의미한다. lossless TL일 경우, Charateristic Impedance는 주파수에 독립적이고 실수값을 가진다.1. load Impedance를 구하기 .. 2025. 4. 2. Transmission Line (3) [회로 특성 고려]1)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할 것이에요. (general loss = lossy)2) 회로의 loss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것이에요. (lossless , ideal)3) 약간의 loss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low loss)0. 앞 글에서 정리했던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자.식을 보면 V0+와V0−라고 적혀있는데 이는 각각 신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성분과 -방향으로 진행하는 성분을 나타낸다.α=lossfactor,β=velocityfactor 근데 얘는 뭘까? Z0를 Characteristic Impedance라고 한다. 그럼 Impedance는 뭘까?임피던스는 A.. 2025. 4. 1. Transmission Line (2) 이제 회로를 분석하기에 몇가지 분류를 하고 진행하자. [회로 특성 고려]1)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할 것이에요. (general loss = lossy)2) 회로의 loss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것이에요. (lossless , ideal)3) 약간의 loss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low loss) [Load Impedance 고려]1) Impedance가 short2) Impedance가 open3) Impedance가 matching [TL 길이 고려]1) Δz = 4λ2) Δz = 2λ0. 가장 일반적인 lossy 전송선로를 분석해보자. 즉, 회로의 loss를 전부 고려하겠다.1. Transmissi.. 2025. 3. 30. Transmission Line (1) 회로에서 EM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guiding TEM특성을 가진 Transmission Line(TL)이 사용된다. * TEM이란? Transverse Electro-Magnetic 성질을 나타낸다. 즉, 파동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기장(E)과 자기장(M)이 수직(T).1. TL을 해석하기 위해 KVL과 KCL을 사용할 것이다. 다만 이것을 적용하기 위해선 TL의 길이가 아주 짧을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짧다는 것은 13λ 이하일 때다.) 회로 해석할 땐 Δz가 0으로 갈때 정확한 값이 도출된다.2. TL은 [그림 1]처럼 최소 2개의 conductor가 있고 그 사이를 이격 시켜놓은 형태여야한다. 3. 가장 먼저 회로를 해석하기 .. 2025. 3. 29. Introduction of Microwave 과목 이름이 "마이크로파 공학"인 만큼 먼자 "마이크로파"가 무엇인지, "밀리미터파"는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1) 마이크로파(microwave) : 파장의 길이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꼭 기억하자. 일반적인 전파에 비해 파장이 짧아서이지 마이크로 파장을 사용해서가 아니다. 실제론 1 m ~ 1 mm 파장의 전파이다. 이를 주파수로 환산하면 약 300 MHz ~ 300 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2) 밀리미터파 : 마이크로파 중에서도 mm단위의 파장들을 일컫는다. 10 mm ~ 1 mm 파장의 전파고 주파수 대역은 30 ~ 300 GHz이다. 극초고주파 Extremely High Frequency(EHF)라고도 부른다. 잘 알겠지만, frequency가 높을수록 데이터 전송도 빨라진다. 이런.. 2025. 3. 29. 이전 1 다음